역사/한국사
-
‘6·25 영웅’ 백선엽 장군의 동상 제막식에 부쳐역사/한국사 2023. 7. 8. 03:29
미국이 초강대국을 유지하는 비결은 세계 최고의 국방비뿐만 아니라 선진 보훈제도와 국민 속에 보훈문화가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 보훈 의식이 1% 증가하면 사회갈등 요인을 1.59% 감소시키고 경제성장을 유발해 20조여 원의 국내총생산(GDP) 증가 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조사됐다(서울행정학회의 2022년 10월 세계가치관조사). 7월 10일은 6.25 전쟁 영웅 백선엽(白善燁, 1920~2020) 장군의 서거 3주년이 되는 날이다. 그는 일본에 나라가 망한 지 10년 후인 1920년 평남 강서군(남포시)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1939년 평양사범학교를 졸업한 뒤 교직에 종사하다가 1941년 만주국 중앙육군훈련처 9기 군관 후보생으로 입교하여 1942년 소위로 임관했으며, 1943년 간도특설대..
-
남촌포럼/서애선생추모행사역사/한국사 2023. 7. 1. 20:34
서애선생 유훈시 林間一鳥啼不息 임간일조제불식 門外丁丁聞伐木 문외정정문벌목 一氣聚散亦偶然 일기취산역우연 只恨平生多愧怍 지한평생다괴작 勉爾子孫須愼旃 면이자손수신전 忠孝之外無事業 충효지외무사업 숲 속의 새 한 마리는 쉬지 않고 우는데 문 밖에는 나무 베는 소리가 정정하게 들리누나 한 기운이 모였다 흩어지는 것도 우연이기에 평생 동안 부끄러운 일 많은 것이 한스러울 뿐 권하노니 자손들은 반드시 삼갈지니 충효 이외의 다른 사업은 없는 것이니라 충효당 (허미수전서)
-
-
리더의 징비의식(懲毖意識)역사/한국사 2023. 6. 18. 19:19
리더의 징비의식 (懲毖意識) ✔️(懲)징계할 징, (毖)삼가할 비. ‘역사의 연구’를 집필해서 순식간에 세계의 지식인으로 평가받은 ‘아놀드 토인비’는 역사를 연구해 보면 민족의 유형이 크게 세 가지 있다고 주장했다. ✔️민족의 유형 (類型) 3가지 ♧첫 번째는~ 재난(災難)을 당하고도 대비하지 않는 민족, ♧두 번째는~ 재난을 당해야만 준비하는 민족, ♧세 번째는~ 재난을 당하지 않고도 미리 대비 하는 민족. 대한민국은 어디에 해당 될 것인가, 스스로 자문해 보기 바란다. 징비록(懲毖錄)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선 선조 때 영의정과 전쟁수행의 총 책임자를 지낸 유성룡(柳成龍) (1542~ 1607)이 집필한 임진왜란 전란사(戰亂史)로서, 1592년(선조 25)~1598년까지..
-
고창전투(古昌戰鬪) / 대야성전투(大耶城戰鬪)역사/한국사 2023. 6. 18. 15:22
고창전투(古昌戰鬪) 고려 전기 안동 지역에서 고려 태조와 후백제 견훤사이에 일어난 전투로 병산전투(甁山戰鬪)라고도한다. 고창전투는 929년(태조 12년) 12월 후백제군에 의해 포위된 고창 지역을 구원하기 위한 고려의 원병 파견에서 시작되어 이듬해 정월까지약 두 달 동안 계속되었다. 고려군은 죽령을 넘어 풍기와 영주를 거쳐 봉화 방면으로 진행하여 지금의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를 거쳐 예안 지역에 이르러 저수봉전투에서 후백제군을 격파함으로써 전투가 시작되었다. 저수봉 전투에서 유금필이 이끄는 고려의 선봉대가 승리하자 왕건은 병산에 주둔하였고, 저수봉 전투에서 패한 후백제군은 후퇴해 석산에서 둔을 치면서 병산전투가 전개되었다.전투에 대한 전설을 살펴보면, 안동의 호족인 삼태사(김선평,권행,장길) 의 활약에 의..
-
-
☆검소(儉素) / 퇴계와 권철역사/한국사 2023. 6. 13. 00:58
☆검소(儉素) / 퇴계와 권철 퇴계가 벼슬을 사양하고 고향에 돌아와 제자들을 양성한다는 소식이 널리 알려지자, 일찌기 영의정(領議政)의 벼슬을 지낸 바 있는 쌍취헌 권철(雙翠軒 權轍)이 한양에서 퇴계를 만나고자 도산서당을 찾아 내려오게 되었다. 권철은 그 자신이 영의정의 벼슬까지 지낸 사람인 데다가 그는 후일 임진왜란 때 행주산성(幸州山城)에서 왜적을 크게 격파하여 만고명장(萬古名將)의 이름을 떨친 권률(權慄) 장군의 아버님이기도 하다. 권률(權慄) 장군은 선조 때의 명재상(名宰相)이었던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의 장인이기도 했다. 서울서 예안까지는 5백50리의 머나먼 길이다. 영의정까지 지낸 사람이 머나먼 길에 일개 사숙(私塾)의 훈장을 몸소 찾아 온다는 것은, 그 당시의 관습으로서는 도저히 ..
-
고려, 조선조 명사들의 호(號) 정리역사/한국사 2023. 6. 11. 22:51
* 강세황 : 표암(豹菴), 표옹(豹翁) : “어려서부터 등에 ‘표범’처럼 흰 얼룩무늬가 있어서, 스스로 장난삼아 그렇게 호를 지었다.” 「표옹자지(豹翁自誌)」 김홍도의 스승. 문사(文士)였지만 시서화(詩書畵)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고 불렸던 문인화가였다. * 강희맹 : 사숙재(私淑齋) : ‘사숙(私淑)’이란 ‘직접적으로 가르침을 받지는 않았지만, 그를 흠모해 홀로 그 학문과 도리를 배우고 익혔다’는 의미임. 맹자는 공자가 이미 사망한 후 태어났기 때문에, ‘자신의 학문은 공자를 사숙하면서 이룬 것’이라고 말함. 『맹자』 「이루하(離婁下)」편. 강희맹은 자신이 오직 성인을 본받아 학문을 익혔다는 사실을 말하거나, 자신의 학문과 예술은 홀로 터득한 것이라는 사실을 드러냄. 세종에서 성종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