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오리(汚吏)/정추(鄭 樞1333-1382)카테고리 없음 2021. 5. 10. 17:01
오리(汚吏)/정추(鄭 樞1333-1382) 城頭烏亂啼(성두오란제) 城下汚吏集(성하오리집) 府牒昨夜下(부첩작야하) 豈辭行露濕(기사행로습) 窮民相聚哭(궁민상취곡) 子夜誅求急(자야주구급) 舊時千丁縣(구시천정현) 今朝十室邑(금조십실읍) 君門虎豹守(군문호표수) 此言何自入(차언하자입) 白駒在空谷(백구재공곡) 何以得維琄(하이득유집) 탐관오리 성 위에 까마귀 요란하게 울 때 성 아래 탐관오리가 모여드는구나 어제 정부의 통첩(通牒)이 내리면 어찌 싫다고 하겠는가? 곤궁한 백성은 서로 모여 울고 있는데 밤중이 되어도 가렴주구(苛斂誅求)는 더욱더하네 옛날 천정(千丁)이 살던 고을에는 이제 열 집 밖에 남아있지 않네 대궐문은 표범과 호랑이가 지키고 있으니 어찌 이 말이 궐..
-
어버이날 ★ 어머님 은혜 노래듣기 가사 동영상카테고리 없음 2021. 5. 8. 09:56
youtu.be/w1zziDPg5EA 어머님은혜(어머니란 말은 듣기만 해도 눈물부터 납니다) 어버이날 ★ 어머님 은혜 노래듣기 가사 동영상 어머니의 마음 작사 : 양주동 작곡 : 이흥렬 1절 나실제 괴로움 다잊으시고 기를제 밤낮으로 애쓰는 마음 진자리 마른 자리 갈아 뉘시며 손발이 다 닳도록 고생하시네 하늘 아래 그 무엇이 넓다하리오 어머님의 희생은 가이없어라. 2절 어려선 안고 업고 얼려 주시고 자라선 문 기대어 기다리는 마음 앓을사 그릇될사 자식 생각에 고우시던 이마 위에 주름이 가득 땅 위에 그 무엇이 높다 하리오 어머님의 정성은 지극하여라 3절 사람의 마음 속엔 온가지 소원 어머님의 마음 속엔 오직 한 가지 아낌없이 일생을 자식 위하여 살과 뼈를 깎아서 바치는 마음 이 땅에 그 무엇이 거룩하리오 ..
-
소송천국/인구 1만명당 고소 일본의 155배 수준카테고리 없음 2021. 5. 7. 12:57
인구 1만명당 고소 일본의 155배 수준 한국이 소송천국이라는 것은 대법원ㆍ대검찰청의 형사 고소와 민사소송 건수를 일본과 비교해보면 극명하게 나타난다. 2004년 우리나라에서 형사 고소당한 사람은 63만명인 반면 일본은 1만명 수준이다. 인구 1만명 기준으로 따져보면 우리나라는 134.1명, 일본은 0.86명으로 무려 155배나 차이가 난다. 고소사건은 계속 증가하지만 80%는 결국 죄가 되지 않거나 수사하기 어려운 것들이었다. 한마디로 '그냥 찔러본 사건'이란 얘기다. 민사소송도 마찬가지로 최근 5년간 전국 법원에 접수된 민사사건은 53%나 급증했다. 재작년 우리나라 1만명당 민사소송 제기 인원은 780명(모든 심급ㆍ모든 유형)이다. 이는 2002년 미국 뉴욕주 1214명보다는 적지만 캘리포니아주 44..
-
나라별 주요 성씨 목록카테고리 없음 2021. 5. 7. 12:33
대한민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의 성씨입니다. 김 (金; Kim, Gim) 이 (李; Lee, Yi, I) 박 (朴; Park, Pak, Bak) 최 (崔; Choi, Choe) 정 (鄭; Jeong, Jung, Chung) 강 (姜; Kang, Gang) 조 (趙; Jo, Cho) 윤 (尹; Yun, yoon) 장 (張; Jang, Chang) 임 (林; Lim, Im, Yim) 한 (韓; Han) 오 (吳; Oh, O) 서 (徐; Seo, Su) 신 (申; Shin) 권 (權; Kwon, Gwon) 황 (黃; Hwang) 안 (安; An, Ahn) 송 (宋; Song) 류 (柳; Ryu, Yu) 전 (全, Jeon)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1] 한국의 인명표기는 로마자 표기법에 의거하지 않..
-
한약재의종류와효능카테고리 없음 2021. 5. 7. 12:31
한약재의종류와효능 *1.나무껍질류* 계피(桂皮) / 상백피(桑白皮) / 후박(厚朴) / 두충(杜沖) / 오가피(五加皮) / 황백(黃白) / 목단피(牡丹皮) / 지골피(地骨皮) / 백선피(白癬皮) / 진피(秦皮) / *2.등나무류* 구등(鉤藤) / 석곡(石斛) / 단향(檀香) / 쇄양(鎖陽) / 등심초(燈心草) / 육종용(肉從蓉) / 목통(木通) / 죽(竹)녀 / 소목(蘇木) / 침향(沈香) / *3.뿌리류* 강황(薑黃) / 패모(貝母) / 현호색(延胡索) / 강활(羌活) / 향부자(香附子) / 옥죽(玉竹) / 고량강(高良薑) / 현삼릉(荊三稜) / 우절(藕節) / 대황(大黃) / 황련(黃連) / 지모(知母) / 모근 / 황정 / 창출(蒼朮) / 반하(半夏) / 산약(山藥) / 천궁(川芎) / 백급(白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