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
-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기행] <10>역사문화 명산 ④면산좋은 글 2023. 6. 5. 23:55
[최종명의 차이나는 발품기행] 역사문화 명산 ④면산 산시성 제슈시 면산 절벽을 따라 만든 도로. 버스가 커브를 돌 때마다 오금이 저린다. 내가 황주에 온 이후(自我來黃州) 이미 세 번째 한식이 지났구나(已過三寒食) 해마다 지나쳐 가는 봄날이 안타까워라(年年欲惜春) 봄날은 가도 이제 아쉬움조차 필요 없나니(春去不容惜) 소동파가 지은 ‘한식첩(寒食帖)’의 제1수 첫 4행이다. 문자옥(文字獄, 중국 왕조에서 황제나 체제 비판 글을 쓴 자를 벌하는 것)을 겪고 황주로 좌천된 40대 중반의 소동파는 우울한 심정으로 불평했다. 제2수에서도 임금의 ‘구중’과 조상의 ‘만리’를 한탄하더니, 싸늘하게 식은 재로 변한 자신의 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129자 한 폭 시첩은 처량한 마음을 절제된 행서로 담은 소동파의 대..
-
● 검소(儉素)좋은 글 2023. 6. 4. 10:44
● 검소(儉素) 퇴계가 벼슬을 사양하고 고향에 돌아와 제자들을 양성한다는 소식이 널리 알려지자, 일찌기 영의정(領議政)의 벼슬을 지낸 바 있는 쌍취헌 권철(雙翠軒 權轍)이 한양에서 퇴계를 만나고자 도산서당을 찾아 내려오게 되었다. 권철은 그 자신이 영의정의 벼슬까지 지낸 사람인 데다가 그는 후일 임진왜란 때 행주산성(幸州山城)에서 왜적을 크게 격파하여 만고명장(萬古名將)의 이름을 떨친 권률(權慄) 장군의 아버님이기도 하다. 권률(權慄) 장군은 선조 때의 명재상(名宰相)이었던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의 장인이기도 했다. 서울서 예안까지는 5백50리의 머나먼 길이다. 영의정까지 지낸 사람이 머나먼 길에 일개 사숙(私塾)의 훈장을 몸소 찾아 온다는 것은, 그 당시의 관습으로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
👉인생(人生)은 메아리👍좋은 글 2023. 6. 4. 10:27
👉인생(人生)은 메아리👍 인생(人生)은 메아리입니다 사랑을 주면 사랑으로 돌아오고 미움을 주면 미움으로 돌아옵니다 긍정(肯定)의 시각(視角)으로 보면 긍정적(肯定的)인 삶이 되고 부정(否定)의 시각(視角)으로 보면 부정적(否定的)인 삶이 됩니다 인생(人生)은 준대로 되돌려 주는 원칙(原則)을 따릅니다 우리의 생각과 언행(言行)은언제고 반드시 그대로 되돌아옵니다 벽壁)에다 공을 던지면 자신(自身)에게 되돌아오는 것처럼 세상(世上)에 불만(不滿)을 던지면 자신(自身)에게 불만(不滿)이 돌아오고세상(世上)에 미소(微笑)를 던지면 자신(自身)에게 미소(微笑)가 돌아옵니다 자신(自身)의 삶에 늘 불평(不平)하면서 행복(幸福)하기를 바라거나자신(自身)은 얼굴을 찡그리면서 남들이 다가오지 않는다고 불평(不平)하지는 ..
-
♤삶은 소풍♤좋은 글 2023. 6. 4. 10:26
♤삶은 소풍♤ 장자(壯子) 사상의 중요한 특징(特徵)은 "人生을 바쁘게 살지 말라"는 것이다. 하늘이 내려준 하루하루의 삶을 그 자체로서 중(重)히 여기고 감사(感謝)하며 살아야지, 하루하루를 마치 무슨 목적(目的)을 완수하기 위한 수단(手段)인 것처럼 소모적(消耗的)으로 대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장자(莊子)는 우리에게 人生에 있어서 '일'을 권하는 것이 아니라, "소풍(逍風)"을 권한 사람이다. 우리는 '일' 하러 世上에 온 것이 아니고, 成功하려고 世上에 온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런 것은 다 부차적(副次的)이고 수단적(手段的)인 것이다. 우리 모두는 과거 생(生)에 무엇을 잘 했는지 모르지만, 하늘로 부터 '삶'을 선물로 받았다. 이 우주에는 아직 삶을 선물 받지 못한 억조창생(億兆蒼生)의 '대..
-
[김승종의 문학잡설(21)] ‘지기추상(持己秋霜)’과 ‘비로소’좋은 글 2023. 5. 27. 21:59
[김승종의 문학잡설(21)] ‘지기추상(持己秋霜)’과 ‘비로소’ 우리는 대체로 자신을 가르치려는 말을 꺼리기 쉽다. ‘지기추상(持己秋霜 : 자신에게는 가을서리처럼 엄격해야 한다)’의 취지에서 옳은 말을 긍정하며 따르자고 우리는 서로 격려하지만, 막상 그런 처지가 되면 은근히 자존의 정서가 손상되며 자신이 부끄럽기도 해 반발하기 쉽고, 상대가 나보다 우월하다는 위치를 부각하려고 저러는 게 아닌가 의심하기도 한다. 더욱이 시비와 이해가 걸려 있다면. 하지만 우리는 안다. 조언과 충고는 언제나 우리에게 필요하고, 세대교체와 문화전승에도 원만한 연계의 맥락이 된다는 사실을. 그렇다. 미숙한 우리 인간에 어찌 공동 지혜에 의거한 쓴소리가 없을 수 있겠고, 영성과 지성을 함유한 인간이 진실과 공익에 봉사하자는 권유..
-
🍓기적을 만드는 Seven-Up좋은 글 2023. 5. 23. 19:37
🍓기적을 만드는 Seven-Up 나이가 들어서 멋있고도 당당한 대접을 받으려면 최소한 일곱가지 정도는 지키며 살아야 한다네요. 첫째🌿 클린업 (clean up) 몸을 항상 깨끗하게 하고 생활 주변도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네요! 둘째🌿 리슨 업 (listen up) 자기 자신의 주장만 고집하지 말고 상대방 말을 듣는 자세로 전환해야 한다네요! 셋째🌿 샫 업 (shut up) 가능한 입을 다물고 가능한 한 말을 아껴야 한다네요!. 넷째🌿 드레스 업 (dress up) 옷은 날개라네요. 그러므로 아무렇게나 입지 말고 당당하게 잘 차려 입어야 한다네요! 다섯째🌿 쇼우 업 (show up) 자기를 적당히 노출시켜야 한다네요. 일이나 모임이 있을 때마다 사양하지 말고, 가능한 한 참석해서 사교적인 인간 관계를 한다네..
-
[김승종의 문학잡설(20)] 귀소(歸巢)의 ‘구석’과 ‘진초록 터널’에서좋은 글 2023. 5. 20. 21:53
[김승종의 문학잡설(20)] 귀소(歸巢)의 ‘구석’과 ‘진초록 터널’에서 김승종 / 시인 · 전 연성대 교수 다음 시를 읽고 독자들은 화자(話者)의 심정에 금방 공감하며, 곧, 자신의 내면 한 구석에서 어렴풋하였다가 서서히 부각되는 같은 기존 심정을 자각하며 더욱 공감할 것 같다. 구석이 좋을 때가 있다 고단한 하루가 모두 물러나고 조용히 구석에 등을 기대며 두 팔을 뻗으면 이제 좀 살 것만 같은 볕을 기다리는 작은 꽃 한 송이 될 것만 같은 - 「구석이 좋을 때」/황현중 그렇다. 우리는 가끔 ‘구석이 좋을 때가 있다’. 아니다 자주... 우리의 삶은 사실 필요 이상 낭비로 지치기 쉽다. 시장(市場)에서 우리는 감정노동에 종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누구나 감정노동을 하고 있고, 삶을 지탱하고 보람을 느끼..
-
‘제세구민(濟世救民)’의 동학(東學)과 최제우좋은 글 2023. 5. 20. 21:37
거룩한 고전’하면 떠오르는 게 “성경(Bible)” 아니면 “논어(論語)”이다. 이것은 21세기를 사는 우리가 종교나 사상에 대해서는 대한민국보다 유럽이나 중국의 사유(思惟)에 더 가까워 진 게 아닌가를 생각하게 한다. 한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한류(韓流)’ 현상이 아시아를 넘어 미국과 유럽 등지로 확산하면서 국민적 자존감이 커지고 ‘한국학’이 부상하고 있다. 성신여자대학교 최민자 교수는 자신의 저서 에서 ‘동학(東學)과 삼일사상(三一思想)에 나타난 한국학 코드’를 역설하고 있다. 우리 고유의 ‘한(韓)’ 사상과 정신문화를 바탕으로 ‘한국학’에 대한 깊은 고찰이 필요한 시기이다. 최제우(崔濟愚, 1824~1863)는 동학을 창도한 1대 교주이다. 본관은 경주, 초명은 복술(福述), 개명한 이름은 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