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잊혀져가는 ‘한글날’에 성삼문을 생각한다.좋은 글 2022. 10. 8. 14:11
잊혀져가는 ‘한글날’에 성삼문을 생각한다.
- 우종철 자하문 연구소장
다시 한글 창제 576돌을 맞는다. 1443년 완성되어 1446년 반포된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중국과 미국의 문맹률은 각각 50%, 21%에 이르는데, 우리의 문맹률이 0%에 가까운 것은 한글의 간결함과 과학성 때문이다. 컴퓨터로 메시지를 전하는데 한글은 일본어나 중국어보다 7배나 빠르다.
그러나 한글창제 이후 한글의 고난사(苦難史)는 말로 형용하기 어렵다. 조선시대에는 선비들에 의해 ‘언문(諺文)’이라고 천대 받았다. 일제 강점기에는 한민족 말살을 위해 한글 사용을 금지했고,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한글학자들을 투옥했다. 미군정 시기에는 영어를 섞어 써야만 지식인으로 대접 받았다.
선진국이 된 대한민국에서도 한글 고난은 계속되고 있다. 외국에서는 한국어를 가르치는 세종학당이 대기자로 넘치고, 한국어능력시험 응시자가 매년 30만명에 달하는데 정작 국내에서는 우리말을 홀대하고 있다.
한국통신, 서울지하철, 담배인삼공사 등도 이름을 케이티(KT), 서울메트로, 케이티앤지(KT&G) 따위로 바뀌었다. 정부가 발표하는 질병관련 단어도 외래어 투성이다. 코로나 ‘펜데믹’은 코로나 ‘대유행’으로, ‘위드’ 코로나는 ‘공존’ 코로나처럼 우리말을 쓰면 된다. 구태여 외래어를 써야 하는 이유를 알 수 없다.
거리의 간판, 아파트 명칭, 골프장 이름에서도 한글은 이제 천연기념물(?)이 되었다. 세계화 시대에 한글만을 고집하자는 주장이 아니다. 내 나라말을 사랑해야 한글이 언제가 국제적인 통용어가 되지 않을까.
정부는 ‘국가 정체성’은 말과 글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한글은 막대한 문화·경제적 가치를 창출해 준다. 때문에 정부부터 한글 사용에 앞장서야 한다. 한글의 세계화는 한글 존중에서 시작된다.
1443년(세종 25)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28자를 만들 때, 정인지, 신숙주, 최항, 박팽년, 이개 등과 더불어 성삼문(成三問, 1418∼1456)이 주도적 역할을 했다. 성삼문의 본관은 창녕,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1418년 홍성군 외가에서 도총관을 지낸 성승(成勝)과 현감 박참(朴瞻)의 딸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날 때 하늘에서 “낳았느냐?”고 묻는 소리가 세 번 들려와 이름을 ‘삼문(三問)’으로 지었다고 한다.
18살 때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21살 때에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집현전 학사로 발탁된 매죽헌. 신숙주와 함께 요동을 13차례나 왕래하면서 명나라 학자 황찬(黃燦)으로부터 음운학을 배웠으며, 서역 문자까지 연구하고 그 성과들로 훈민정음을 창제했다.
중국에 간 매죽헌은 우연히 ‘이제비(夷齊碑, 백이숙제비)’가 서있는 곳을 지나다 시 한수를 지었다. “수양산 바라보며 백이와 숙제를 한탄하노라/굶어죽을지언정 고사리를 뜯어먹어야 되겠는가/비록 푸성귀라도 그것은 누구의 땅에서 났던고?”
수양대군이 계유정난(癸酉靖難)을 일으켜 단종을 내쫓고 1455년에 왕위에 오르자, 이듬해 매죽헌은 단종복위(端宗復位)를 기도하다 발각되어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39세에 능지처참을 당하고, 멸문(滅門)의 화를 입었다.
처형을 알리는 종이 울리자 술 한 잔을 마신 후 지은 ‘절필(絶筆)’이라는 시에 그의 꿋꿋한 기상이 잘 드러나 있다. “일사고지충의재(一死固知忠義在, 한 목숨 바치는데 충의가 있음을 알겠거니) 현릉송백몽의의(顯陵松栢夢依依, 현능(문종)의 송백이 꿈속에 아련하네.”
매죽헌은 숙종 때에 역모 혐의가 풀렸고, 영조 때에 이조판서 관직이 추증되고 ‘충문(忠文)’의 시호를 받았다. 고려의 정몽주처럼 조선 제일의 충의 절신(節臣), 매죽헌 선생의 의리와 기개를 경모하는 필자의 자작 한시를 소개한다.
傲霜節義自天萌(오상절의자천맹) 서리처럼 굴하지 않는 절의를 태어날 때 싹틔웠고
獨創正音數十行(독창정음수십행) 독창적인 한글 창제 위해 중국을 수십 번 여행했네
簒奪王權禽獸怒(찬탈왕권금수노) 왕위를 찬탈하자(계유정난) 모든 짐승이 노했고
見危臣誓百花驚(견위신서백화경) 위험을 보고 신하가 맹세하자 온갖 꽃이 놀랐네
魯山曲曲山川泣(노산곡곡산천읍) 단종의 굽이굽이 맺힌 한에 산천이 곡했고
謹甫堂堂大塊鳴(근보당당대괴명) 성삼문의 당당한 모습에 대자연이 울었네
擊鼓催命皆痛哭(격고최명개통곡) 형장의 북소리가 목숨을 재촉하자 모두 통곡했고
長松落落守孤城(장송낙락수고성) (봉래산의) 낙락장송이 외로운 성(나라)을 지키네
일요서울 논설주간 우 종 철'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와대 이전’과 하륜의 미래예측 리더십 (1) 2022.11.11 ‘강한 군대’ 복원과 광개토대왕의 대외전략 / 우종철 자하문 연구소장 (0) 2022.10.15 한산·명량대첩과 ‘이순신 정신’ (1) 2022.10.08 문화의 달 10월과 동양의 지성 김정희 (1) 2022.10.08 안동의 자부심,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 김황식 전 국무총리 (0) 202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