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회마을 백사장의 자라/거북,자라,남생이의 구별카테고리 없음 2021. 7. 11. 13:03
하회마을 백사장의 자라
오늘아침 하회마을 보존회장 류한욱씨가 부용대아래 솔밭백사장으로 올라온 자라를 낙동강에 방사한 사진입니다.
자라가 엄청 큰것으로 보아 제법 나이를 먹은것 같은데 이자라가 주인을 잘 만나 생명을 다시 얻었군요.
보존회장님! 복받으실겁니다.
그런데 이거 상당히 위험한 일이니 아무나 따라하면 물려서 손가락을 잃을수도 있습니다.
#하회백사장#자라#방생
헷갈리지 마세요! ‘거북’, ‘자라’, ‘남생이’ 차이점
- 용왕님의 병을 낫게 하려고 토끼의 간을 구하러 온 ‘별주부전’의 동물은 ‘자라’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자라’와 ‘거북’을 헷갈린다. 여기에 ‘남생이’까지 합세하면 두 손을 들게 된다. ‘거북’, ‘남생이’, ‘자라’는 각각 어떤 동물이고, 어떤 차이가 있을까?
- ▲ 사진=Wikimedia Commons
- ‘거북’은 지구에 사는 파충류 중 가장 오래전부터 존재한 동물로, 세계 각지에는 12과 240여 종의 거북이 살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단 2종의 민물 거북이 서식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남생이’와 ‘자라’다.
한국 토종 민물 거북인 남생이와 자라는 1980년대만 해도 전국 하천이나 저수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보양 음식 및 약재로 사용하기 위한 무차별 남획과 서식환경 파괴로 개체 수가 확연히 줄어들었다. 특히 2005년 천연기념물 제453호로 지정된 남생이는 2012년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사실 남생이와 자라는 모습과 사는 모습이 확연히 달라 구분하기 어렵지 않다. 오히려 남생이와 구분이 쉽지 않은 것은 외래종인 ‘붉은귀거북’이다. 일명 ‘청거북’, ‘빨간귀거북’이라고도 부르는 붉은귀거북은 1970년 후반부터 애완용으로 들여왔지만, 종교적인 방생 등으로 야생에 놓아주며 토착화되었다. - ▲ 사진=야후이미지검색, Wikimedia Commons
- 남생이와 자라, 붉은귀거북은 등딱지 모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남생이는 3개의 뼈가 세로 방향으로 산처럼 솟은 모양을 한 딱딱한 짙은 갈색의 등딱지를 갖고 있다. 자라의 등딱지는 누런 갈색에 납작하고 물렁물렁하다. 진초록색에 노란 줄무늬가 있는 붉은귀거북의 등딱지는 완만한 곡선의 구부러진 모양을 하고 있으며, 남생이와 마찬가지로 딱딱하다.
남생이와 붉은귀거북은 머리 모양이 비슷하지만, 머리 옆면의 무늬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남생이는 녹색, 흑색, 흑갈색을 띠는 머리 옆에 불규칙한 노란색 세로줄이 나 있다. 붉은귀거북은 눈 바로 뒤쪽에 붉은색 무늬가 특징이다. 자라 머리는 무늬가 없으며, 돼지코를 닮은 긴 코 때문에 주둥이 끝이 가늘게 튀어나온 모습이다. - ▲ 사진=Wikimedia Commons
- 자라는 이빨이 있지만, 남생이와 붉은귀거북은 이빨이 없는 대신 위아래 턱에 단단한 칼 모양의 용골돌기가 나 있다.
남생이와 붉은귀거북은 물과 육지를 오가며 생활하는 반면, 자라는 알을 낳을 때를 빼면 거의 물속에서 지낸다. 남생이는 단단한 다리와 발톱을 갖고 있고, 자라의 네다리는 크고 짧으며 물갈퀴가 달려있다. 붉은귀거북은 앞발에 발톱이 길게 나 있고, 뒷발가락은 막으로 연결되어 있다.
- 용왕님의 병을 낫게 하려고 토끼의 간을 구하러 온 ‘별주부전’의 동물은 ‘자라’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자라’와 ‘거북’을 헷갈린다. 여기에 ‘남생이’까지 합세하면 두 손을 들게 된다. ‘거북’, ‘남생이’, ‘자라’는 각각 어떤 동물이고, 어떤 차이가 있을까?